" 인터넷에 찾기만 하면 나오는 칼로리 식단표로 살을 뺄 수 있다면, 왜 잡지나 신문, 인터넷, 식품기업들이 식단표를 무료로 제공해줄까요? 칼로리 식단표대로 따라 하는 우리는 왜 모두 날씬해지지 못할까요? "
* 1번째 / 2번째 내용은 여기에 올렸습니다 *
https://caecillia0117.tistory.com/entry/탈다이어트-1단계-다이어트-사고방식에서-벗어나자
3번째 : 숫자와 도구를 없애라
- 신격화 하는 체중계
" 제발 00키로..00키로..1키로만..!!"
라고 체중계에게 비는 기도는 전 세계에서 매일 아침마다 할 것입니다. 그리고 이 기도는 그날 하루의 기분을 좌지우지 하지요. 재밌는 건 그날 몸무게가 좋던 안 좋던 우리는 과식을 하게 된다는 겁니다. 좋으면 오늘은 괜찮아하고 먹고, 안 좋으면 역시 난 안돼 또 실패야 속상해서 먹어야겠어.라는 거죠.
- 다양한 무게의 1kg
" 물 2컵의 무게는 약 500g입니다 "
어느 날 몸무게가 2키로나 올라갔습니다. 그럼 우린 2키로가 지방이라고, 살쪘다고 생각합니다. 하지만 전날 케익한조각 먹었다고 2키로가 늘어나는 건 불가능합니다. 이런 경우 대체로 체내 수분의 무게입니다. 또는 호르몬, 과도한 나트륨 섭취, 하물며 날씨까지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.
* 몸무게 측정은 몸무게에만 집중하도록 만들 뿐입니다. 우리는 나만의 몸무게를 갖는 것이 아닌, 나만의 편안한 몸을 찾아야 합니다. *
4번째 : 자신을 자책할 필요가 없다
" 지긋지긋한 다이어트에서 벗어나고 싶은데,, 마지막으로 한 번만 더 하고 싶어요 "라고 생각하는 건 너무나 자연스러운 일입니다.
다이어트가 미적 가치관을 뛰어넘어, 날씬한 몸매를 추구하는 행위가 정신적인 갈망을 채워준다는 흥미로운 이야기도 있습니다. ( 하버드 출신의 신학자이자 고전학자인 미셀 랠위자의 저서 '날씬한 몸매라는 종교 내용 중) 예를 들어보자면,
1. 날씬함은 '보상'이라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
2.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의식을 만든다 ( 아침에 몸무게 체크하기 등)
3. 삶과 식사의 도덕적 기준을 만든다.
4. 유대감과 공동체 의식을 만든다.
* 다이어트를 하면 해택과 보상이 기다리고 있는데 유혹적일 수 있습니다. 머리로는 부질없다 생각해도 다이어트의 욕망을 내려놓기엔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*
[ 다이어트 / 비다이어트 사고 ]
다이어트 사고 | 비다이어트사고 | |
식사 / 음식 선택 | 1. 먹을 자격이 있는가? 2 하루종일 먹은 것이 대해 ' 좋다 / 나쁘다 ' 로 표현한다. 3. 칼로리에 죄책감을 느낀다. 4. 음식을 나쁘게 의식한다. |
1. 배가 고픈가? 2.먹고 싶은가? 3. 먹으면 만족스러울까? 4. 맛이 좋은가? 5. 죄책감 없이 음식을 즐길 자격이 있다. |
운동 효과 | 1. 칼로리 연소에 초점을 맞춘다. 2.계획한대로 운동을 하지 않으면 죄책감을 느낀다. |
1. 운동이 주는 기쁨, 특히 스트레스 해소와와활럭에 초점을 맞춘다. |
나의 몸 평가 | 1. 몇키로 빠졌는가? 2. 외모 상태는 어떤가? 3. 다른사람이 내 몸무게, 내몸을 어떻게 생각하는가? 4. 자신의 의지력 |
1. 자신에 대한 믿음. 2.몸무게에 신경쓰기 보다는 내부 신호, 내 몸이 주는 신호에 귀기울인다. 3. 몸무게는 목표가 아니다. |
어떤가요? 저는 3년 차 직관적 식사를 하고 있지만 다이어트의 유혹에는 여전히 흔들린답니다. 특히나 탈다이어트해서 나만의 몸을 갖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고 주위에서 봤을 땐 이해하기 힘드기도 하니까요. 그 속에서 나만의 내면의 소리를 따라가기란 어려운 일인 거 같습니다. 그래도 우리 하나씩 하나씩 해가면서 나를 발견해 가봐요! 직관적 식사에는 실패란 없고 경험만 있으니까요!
궁금한 점이 있거나 의견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이야기해주세요~!
'다이어트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바디 포지티브의 변화들 (8) | 2022.04.10 |
---|---|
언제부터 왜 바디 포지티브가 시작 되었을까요? (0) | 2022.04.07 |
탈다이어트 1단계_< 다이어트 사고방식에서 벗어나자 > (2) | 2022.04.01 |
저는 바디소통가입니다 _ < 바디 포지티브 > (14) | 2022.03.28 |
바디 포지티브란? _ < 가장 많이 듣는 이야기 > (6) | 2022.03.24 |